[Review] 180713_Spatial relationship between biodiversity and geodiversity across a gradient of land-use intensity in high-latitude landscapes_Tukiainen et al.(2017)

논문 원문 볼 수 있는 곳 !!

상관관계 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는 국내논문
이 논문처럼 선형모형, variation partitioning, 기후변수 추가 등을 해서 하면 국외논문으로도 되지 않을까?
다양한 지역에서 지다양성과 생물다양성과의 관계를 봐야하는 연구가 많이 필요함…뭔가 욕심이 생기는구먼….

1. 의도와 목적은 무엇?
1) 토지이용 강도와 경관규모의 생물다양성/지다양성사이의 관계 분석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intensity and each diversity measure?”
2) 인간의 영향이 저/중/고인 지역에서 식물다양성을 설명하는데 지다양성, 기후, 공간 변수들의 기여도를 평가
“(2) Do measures of geodiversity account for the variation in plant species richness patterns best in areas of lowest human impact?”

Continue reading [Review] 180713_Spatial relationship between biodiversity and geodiversity across a gradient of land-use intensity in high-latitude landscapes_Tukiainen et al.(2017)

[Review] 180712_Modelling native and alien vascular plant species richness: At which scales is geodiversity most relevant?_Bailey et al.(2017)

논문 원문 볼 수 있는 곳

지다양성과 식물종풍부도와의 관계를 본 논문…아주 관련성이 깊은 논문임

서론을 작성하는 흐름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고, 논문의 토론에서 주장해야 할 많은 근거나 참고 문헌들을 확인할 수 있었음

**서론 요약**
1. 생물다양성 공간패턴의 중요성과 지다양성과의 관계에 대한 중요도 증가
2. 지다양성의 정의, 흐름, 생물종과의 관계분석 이용가능성.
3. 둘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으나 이해에 한계가 있음
4. 지다양성을 계산하는 방법의 변화 흐름. 작은 스케일에서 더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5. 그런데 생물다양성과 지다양성과의 패턴에 대해서 스케일 측면에서의 이해도가 매우 적음. 어떤 스케일에서 둘의 관계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지 아는게 필요함
6. 이렇게 된 이유에는 데이터문제가 매우 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Geomorphon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작은 격자의 지형관련 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음
7. 자생종과 외래종의 서식지 선호 특성같은 것이 다름. 따라서 지다양성과 맺는 관계가 다를 수 있음
8. 이러한 상황에서 연구질문은….임. 연구목적은….임

Continue reading [Review] 180712_Modelling native and alien vascular plant species richness: At which scales is geodiversity most relevant?_Bailey et al.(2017)